2025년 1월 9일,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한 ‘백골단 김민전 국회 기자회견’이 정치권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. ‘반공청년단’을 자처하는 청년들이 백골단이라는 과거 군사독재 시절의 상징적 단어를 사용하며 등장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, 여야의 첨예한 대립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
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!
논란의 시작: 국회 기자회견장의 ‘백골단’
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는 하얀 헬멧을 쓴 20, 30대 청년들이 등장했습니다. 이들은 스스로를 ‘반공청년단’이라 칭하며, 그 예하 조직으로 ‘백골단’을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윤석열 대통령 보호를 위한 자발적 시위 조직임을 강조
- 민주노총의 불법 시위에 대항하는 청년 단체라고 주장
- 과거 군사독재 시절 민주화 운동 탄압의 상징인 ‘백골단’ 명칭 사용
백골단의 역사적 의미와 논란
과거 백골단의 실체
1980년대 민주화 운동 당시 백골단은 다음과 같은 악명을 떨쳤습니다:
- 사복 경찰 폭력 진압 부대로 활동
- 1991년 명지대 강경대 학생 사망 사건 연루
- 1996년 연세대 노수석 학생 사망 사건 관련
- 민주화 운동 탄압의 대표적 상징
정치권의 반응과 파장
야당의 비판
야당은 강력한 비판을 제기했습니다:
- 개혁신당 이준석: “분변도 못 가리는 정치”라고 직격
- 민주당 박창진: “국회의원 자격 없음” 지적
- 과거사 망각에 대한 우려 표명
여당의 대응
국민의힘은 다소 모호한 입장을 보였습니다:
- 당 공식 입장이 아님을 강조
- 의원들 간 스펙트럼 차이 인정
- 물리적 충돌 방지 강조
김민전 의원의 해명과 후속 대응
김민전 의원은 논란이 커지자 다음과 같이 해명했습니다:
- 백골단이란 명칭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
- 청년들의 자발적 결정 사항임을 강조
- 윤 대통령 지지 청년들에 대한 미안함 표명
시민사회의 반응과 우려
시민단체들은 다음과 같은 우려를 표명했습니다:
- 민주주의 퇴행 가능성 지적
- 과거사 망각의 위험성 경고
- 정치적 대립 격화 우려
이번 ‘백골단 김민전 국회 기자회견’ 사태는 우리 사회가 과거사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, 또 현재의 정치적 갈등을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화두를 던졌습니다. 여러분은 이번 사태를 어떻게 바라보시나요? 과거의 아픈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우리 사회가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?
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!